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건강검진 소변검사에서 검출된 ‘케톤’, 어떤 질환을 의미할까? [건강톡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건강검진 소변검사 결과에서 검출된 케톤. 과연 요중 케톤은 어떤 신체 이상을 의미할까. 하이닥 전문의에게 물었다.

하이닥

Q. 소변검사에서 케톤이 나왔다고 하는데, 케톤이 정확히 뭔가요?
케톤체는 지방의 대사 산물로 간에서 생성됩니다. 당분을 에너지로 이용하기 힘든 경우에 당 대신 지방을 지방산으로 만들어 에너지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지방산이 간에서 케톤체로 바뀌어 요중으로 빠져나가 케톤뇨가 나오게 됩니다.
- 하이닥 소아청소년과 상담의사 김경남 원장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Q. 케톤이 소변으로 나오는 것이 정상인가요?

소변검사에서 케톤체는 안 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케톤뇨가 나온다는 것은 신체 대사기능이 동화작용보다는 이화작용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금식, 음주, 운동, 임신, 스트레스 등에서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을 위한 금식으로 인해서도 케톤체가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니 다른 특이증상이 없는 상태라면 대부분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러나 상태가 지속된다면 원인을 감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사 방준호 원장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Q. 케톤 수치가 왜 높게 나왔을까요?
소변검사에서 케톤이 나온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당뇨병 :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이 높은 상태에서 인슐린이 부족하면 체내에서 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만들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케톤이 생성되고, 이는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단식 : 단식을 하면 혈당이 낮아지고 인슐린이 부족해집니다. 이로 인해 체내에서 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케톤이 생성됩니다.
△알코올 중독 : 알코올 중독 환자의 경우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케톤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기타 질환 :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장 질환, 간 질환, 폐 질환 등에 의해서도 케톤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 하이닥 외과 상담의사 이이호 과장 (창원파티마병원)

Q. 케톤 수치가 높으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케톤 수치가 높으면, △구토 △설사 △복통 △두통 △탈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케톤산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케톤 수치가 높게 나온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하이닥 외과 상담의사 이이호 과장 (창원파티마병원)

Q. 제2형 당뇨병 환자입니다. 당뇨병성 케톤산증 위험이 큰가요?
케톤산증이라고 하는 것은 신체 내에 인슐린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발생하는 급성 합병증입니다. 혈액 내에서 증가된 당과 케톤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소변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신체 내 탈수현상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심한 갈증을 호소하며 탈수 현상으로 혈압이 떨어져 의식의 혼탁이 오고, 장으로 가는 혈류량의 감소로 심한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케톤이라는 물질은 강한 산성을 가지므로 혈액이 산성으로 변하여 중추신경계 및 순환계의 기능적 장애를 가져와 생명이 위험하게 되는 경우로 응급치료를 요하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케톤산증의 원인은 절대적인 혈액 내 인슐린 부족으로 오며, 제1형 당뇨병의 발생 초기에 급격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사 이영진 원장 (대구코넬비뇨기과의원)

Q. 케톤 수치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케톤 수치가 높게 나온 경우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당뇨병이 원인일 경우 인슐린 치료를 통해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단식이나 과도한 운동이 원인일 경우 식사를 하고 운동을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케톤 수치를 낮출 수 있습니다. 알코올 중독이 원인일 경우 금주 치료를 시행합니다.
- 하이닥 외과 상담의사 이이호 과장 (창원파티마병원)

* 이 기사는 하이닥 전문가의 답변을 재구성했습니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김경남 원장(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점누의), 하이닥 상담의사 방준호 원장(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이이호 과장(창원파티마병원 외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이영진 원장(대구코넬비뇨기과의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조수완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www.hidoc.co.kr)
저작권ⓒ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닥 공식 SNS - 페이스북 / 네이버포스트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